담유- 제10흉추극돌기 아래에서 옆 1.5촌 나간 지점에서 취한다. 족태양방광경
대거- 외릉 아래 1촌 즉, 배꼽 아래 2촌, 전정중선 옆으로 2촌 나간 지점에서 취한다. 족양명위경
대도- 첫째발가락 본절(중족지절관절) 앞 안쪽, 발등과 발바닥 경계[적백육제(赤白肉際)]에서 취한다. 족태음비경 상용혈, 극혈
대돈- 첫째발가락 발톱각 바깥쪽 옆 0.1촌에 위치한다. 족궐음간경 상용혈
대릉- 손바닥쪽 손목가로금[완횡문(腕橫紋)] 위 중앙으로 두 힘줄사이의 골에서 취한다. 수궐음심포경 상용혈, 팔맥교회혈, 낙혈
대맥- 제11늑골 앞쪽 끝 수직선과 배꼽 수평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취한다. 족소양담경 상용혈
대영- 아래턱 모서리[하악각(下顎角)] 앞 1.3촌의 오목한 부분으로 입을 다물고 바람을 불어넣었을 때 생기는 골의 하단되는 지점에서 취한다. 족양명위경 극혈
대장유- 제4요추극돌기 아래에서 옆 1.5촌 나간 지점에서 취한다. 족태양방광경
대저- 제1흉추극돌기 아래에서 옆 1.5촌 나간 지점에서 취한다. 족태양방광경 상용혈, 극혈
대종- 태계혈 아래 0.5촌, 아킬에스건의 앞쪽 라인에서 취한다. 족소음신경 극혈
대추- 제7경추극돌기 아래에 함몰되는 지점에서 취한다. 독맥 극혈
대포- 겨드랑이에 중앙(극천혈)과 제 12늑골을 있는 선[액중선(腋中線)]에서 제 6늑간과 만나는 지점에서 취한다. 족태음비경 상용혈, 오수혈
대혁- 배꼽 아래 4촌에서 전정중선 옆으로 0.5촌 나간 지점에서 취한다. 족소음신경
대횡- 배꼽 옆 4촌에서 취한다. 족태음비경 낙혈
도도- 제1흉추극돌기 아래에 함몰되는 지점에서 취한다. 독맥
독비- 무릎뼈 바깥쪽 아래 오목한 곳, 무릎 힘줄 바깥쪽의 오목한 곳에서 취한다. 족양명위경
독유- 제6흉추극돌기 아래에서 옆 1.5촌 나간 지점에서 취한다. 족태양방광경 상용혈
동자료- 눈 바깥쪽 모서리에서 바깥으로 0.5촌 나간 지점에서 뼈 옆 오목한 곳에서 취한다. 족소양담경 상용혈, 오수혈, 원혈
두규음- 천충혈과 완골혈을 활모양으로 이은 선을 3등분해서 아래 2/3 지점에서 취한다. 족소양담경
두유- 이마모서리 앞머리칼 경계[액발각(額髮角)]에서 앞머리뼈[전두골(前頭骨)] 두드러진 부분 위쪽으로 들어가 오목한 곳에서 취한다. 족양명위경 상용혈, 오수혈
두임읍- 눈동자 수직선 위, 앞머리칼 경계[전발제(前髮際)]에서 0.5촌 위 올라간 지점으로 신정혈과 두유혈의 중간에서 취한다. 담경
명문- 제2요추극돌기 아래에 함몰되는 지점에서 취한다. 독맥 상용혈, 오수혈, 원혈
목창- 두임읍혈 뒤로 1촌에서 취한다. 족소양담경 상용혈, 팔맥교회혈, 낙혈
미충- 찬죽혈 수직선 위 앞머리칼 경계[전발제(前髮際)]에서 0.5촌 들어간 곳에서 취한다. 족태양방광경 극혈
'대체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이명 자침 (0) | 2017.12.03 |
---|---|
[스크랩] 주요 병증별 치료 사례 (0) | 2017.06.15 |
[스크랩] 곡지혈-대장관련질환 (0) | 2017.03.12 |
[스크랩] 정통침 치료 연구 (5) (0) | 2016.12.04 |
[스크랩] 정통침 치료 연구 (5) (0) | 2016.12.04 |